S&P500 19

2023.01.27(금) 글로벌 증시 요약 / 개인 소비 심리는..

주요 이슈 - 12월 개인소비지출 / 개인 소득 - 12월 개인소비지출: 전월보다 0.2% 감소, 예상 -0.1% 하회, 전월 -0.1%보다 감소 폭이 커짐. - 12월 개인소득: 전월보다 0.2% 증가, 전월 0.3% 증가보다 둔화. => 소득 증가가 덜해지자 저축을 늘리면서 소비를 줄인 탓, 지난 10월 이후로 개인소비지출 감소세가 확연히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23년 1분기 소비 예측에 긍정적 시그널은 아님. (하버드대 제이슨 퍼먼 교수) - 카드사 실적발표 - 소비에 이상 없다. - 마스터카드, 비자, 아멕스 모두 결제액은 모두 상승 중이고, 2023년 매출 또한 예상치보다 높을 것으로 보고 있음. - 미시간대 발표 - 소비자심리지수: 64.9, 12월 59.7보다 1월 잠정치 64.6 보다 높음..

재테크/시황 2023.01.28 (10)

2023.01.26(목) 글로벌 증시 요약 / 갓슬라 캐리

주요 이슈 -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미국 4Q22 GDP: 2.9% 2022년 4분기 미국 GDP 속보치 2.9%_230126 안녕하세요, 미국 2022년 4분기 GDP 속보치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경제분석국(Bureau of Economic Analysis)이 발표한 속보치에 따르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2022년 4분기에 연율 2.9%로 발표되었습니다. nomadtik.com - 재고투자 덕분에 잘 나온 GDP(2Q22, 3Q22에서는 마이너스였으나 4Q22에서는 +1.5%) - 투자 부문 약세, 특히 주택투자는 확실히 나쁜 추세를 이어가는 중(22년 내내) - 서비스 소비가 아직은 양호한 점이 다행(그러나 추세적으로 줄어들고 있음) - 머스크의 힘, 테슬라 +10.97% 상승 - 현재 주문..

재테크/시황 2023.01.27 (3)

2022.12.19(월) 글로벌 증시 요약 / FED를 믿어라

주요 이슈 - NAHB 지수 31로 예상치보다 하회, 팬데믹 제외하면 2012년 중반 이후 최저치 NAHB/HMI 2022년 12월 미국 주택 시장 지수 - 31 높은 모기지 금리, 인플레이션율을 훨씬 상회하는 높아진 건설 비용, 악화된 경제 조건으로 인한 소비자 수요 감소로 인해 2022년 모든 달에 걸쳐 건축 신뢰도가 하락했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12 nomadtik.com - FED의 매파적 스탠스 소화로 인한 하락 - ECB(유럽 중앙은행)의 강도 높은 긴축 예고에 따른 채권 수익률 상승 → 미국 국채 수익률에도 영향(상승) - 독일 국채 10년물 / 지난주 ECB 통화정책 회의 이후 약 30bp 상승 - 영국 국채 10년물 / 영란은행의 양적 긴축과 국채 발행량 증가로 인해 당일에만 17bp 급..

재테크/시황 2022.12.20 (3)

2022.12.08(목) 글로벌 증시 요약 / 관망세

주요 이슈 - 연속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로 반등 - 다음 주 11월 CPI 및 12월 FOMC 회의 전 관망세 지속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치에 맞게 나옴(23만 건), 연속 실업 청구건수는 22년 2월 이후로 최대(167만 1천 건) 시장금리 / 유가 - 국채 10년 물은 7bp 상승, 3.49% - 국채 2년 물은 6bp 상승, 4.31% - 달러 인덱스는 0.3% 하락, 104.9pt를 기록 - 원/달러 환율: 1,314원 - WTI 0.8% 하락, 71.5달러 특징주 - 반도체 2.67% 상승 - 엔비디아 6.5%, 마이크론 2.6% 상승 - 아마존 2.1%,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메타 1.2% 상승 - 테슬라 -0.3%, 알파벳 -1.3% 업종별 특징 업종별로 살펴보면 IT 섹터가 1..

재테크/시황 2022.12.09 (2)

2022.11.28(월) 글로벌 증시 요약 / 연준의 역습

주요 이슈 - 주요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태도 - 존 윌리엄스(뉴욕 연준 총재) / 추가 금리인상의 필요성 언급, 금리인하는 2024년은 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 - 제임스 불라드(세인트 루이스 연준 총재) / 2023년 기준금리는 더 공격적으로 올라갈 가능성을 시장이 과소평가 중. - 중국 내 코로나 재확산 우려 - 주요 도시 봉쇄 / 민간 시위 확산 - 중국 내 생산시설(거점) 기업에 차질 우려 / 애플의 경우 연간 600만 대 생산 감소 전망 - 중국이 정책 운영상의 어려움과 경기부양을 목표로 제로 코로나 정책 파기 가능성 언급되나 뚜렷한 증후나 신호는 감지되지 않고 있음 - ECB 인플레이션 정점론 시기상조 - 리가르드 유럽 중앙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은 아직 멀었고, 최근의 가파른 금리인상은 아..

재테크/시황 2022.11.29 (3)

2022.11.25(금) 글로벌 증시 요약 / 관망세

주요 이슈 - 전일 추수 감사절로 24일(목) 휴장, 25일(금)은 오전에만 거래가 진행됨. - 특별한 뉴스 없이 거래가 한산, 관망세 - 차주 파월 연준 의장(11/30) 및 주요 연준 위원들의 연설 일정 및 고용 지표 등 경제 지표 발표 전 관망세가 짙음. 시장금리 - 국채 10년 물은 1.5bp 하락, 3.68% - 국채 2년 물은 2.5bp 하락, 4.45% - 달러 인덱스는 106pt를 기록 - 원/달러 환율: 1,335원 유가 - WTI 2.1% 하락, 76.28달러 / 중국 내 코로나 재확산 특징주 - 애플 2% 하락 / 중국 이슈(폭스콘 공장 등) - 액티비전 블리자드 4.1% 하락 /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합병이 반독점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 - 반도체 및 주요 기술주도 하락 - 중국..

재테크/시황 2022.11.28 (3)

파월, 잭슨 홀 재현할까?

요약 파월은 11월 30일 수요일 동부 표준시 기준 오후 1시 30분에 연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파월이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시장 통제권을 가져올 수 있는 기회입니다. 최근 몇 주 동안의 금융 상황은 파월의 연준에 호의적이지 않았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10월 저점에서 극적으로 살아나 상승하고 있으며,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은 10월 중순 이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파월은 12월 FOMC 회의 전 블랙아웃 기간이 다가오고 있지만, 상승세를 잠재울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는 11월 30일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노동 시장과 경제 전망에 대 연설할 예정입니다. 오는 수요일은 파월이 8월 말 잭슨 홀에서 했던 시장의 불을 끌 수 있는 또 다른 기회의 장이 될 ..

재테크/Fed 2022.11.27 (3)

2022.11.23(수) 글로벌 증시 요약 / FOMC 회의록 비둘기?

주요 이슈 - 11월 FOMC 의사록 - Fed의 긴축 속도 조절론에 힘을 얻는 내용으로 상승 마감 - 대다수의 연준 위원들은 통화정책이 충분히 제약적인 금리에 다가감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낮추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내다 봄. -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매월 목 발표, 이번 주는 추수감사절로 하루 일찍 발표)는 8월 이후 최대치 기록 - 둔화하는 노동시장에 대한 기대로 Fed의 정책 노선 변경에 대한 기대 시장금리 - 국채 10년물은 7bp 하락, 3.69% - 국채 2년물은 4.5bp 하락, 4.47% - 달러 인덱스는 105.89pt를 기록 - 원/달러 환율: 1,337원 유가 - WTI 3.72% 하락, 77.94달러 / 중국 내 코로나 재확산, 지난주 미국 휘발유 재고 예상치 상회 특징주 -..

재테크/시황 2022.11.24 (4)

2022.11.22(화) 글로벌 증시 요약 / 추수감사절 전 조용한 증시

주요 이슈 - 금주 추수감사절 연휴를 두고 거래량이 줄어듦 - 소매 유통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 / 베스트바이, 아베크롬비, 아메리칸 이글 등 시장금리 - 국채 10년물은 7bp 하락, 3.76% - 국채 2년물은3.4bp 하락, 4.52% - 달러 인덱스는 0.63% 하락, 107.15pt를 기록 - 원/달러 환율: 1,350원 유가 - WTI 1.14% 상승, 80.95달러 특징주 - 시총 상위 대형주 동반 상승 / 애플, 알파벳, 메타, 마소, 테슬라, 아마존 - 소매 유통업체 강세 / 콜스, 메이시스 4%대 상승, GAP, NIKE도 2~3% 상승 - 필수소비재 판매 달러트리 부진한 실적 가이던스로 7.8% 하락 - 중국 코로나 재확산 등의 이슈로 중국기업 주가 3일 연속 약세 중 업종별 ..

재테크/시황 2022.11.23 (2)

2022.11.21(월) 글로벌 증시 요약 / 시진핑 코로나 감염?

주요 이슈 - 중국 코로나 재확산 우려, 시진핑 코로나 감염 등 이슈로 하락 - 베이징에서 6개월만에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 발생 - OPEC+ 증산 가능성 언급 WSJ, 그러나 사우디의 부인으로 급락 부분은 대부분 만회됨. 시장금리 - 국채 10년물은 보합, 3.82% - 국채 2년물은 2.2bp 상승 4.55% - 달러 인덱스는 0.86% 상승하며 107.85pt를 기록 - 원/달러 환율: 1,358원 유가 - WTI 80.04달러 특징주 - 테슬라 6.8% 하락 - 애플, 메타, 알파벳, 아마존 모두 2% 전후의 약세 - 디즈니 6.3% 상승 / 경영자 교체 소식에 따름 - 카바나 13% 하락 / 업황 부진 우려 (중고차) - 이마고 바이오사이언스 105% 상승 / 제약 업체 머크가 인수하기로 결정에..

재테크/시황 2022.11.2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