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13

2023.01.12(목) 글로벌 증시 요약 / 드디어 발표 된 12월 CPI

주요 이슈 - 예상과 부합한 12월 CPI - 헤드라인 CPI 전년 대비 6.5%, 전월 대비 -0.1% - 근원 CPI 전년 대비 5.7%, 전월 대비 0.3% 상승 - 상품: 중고차 2.5%, 에너지 4.5%, 휘발유 9.4% 하락 - 식품 0.3%, 주거비 0.8% 상승 - 서비스 물가 0.6% 상승 그중 주거비가 CPI의 1/3, 근원 CPI의 40%를 차지하는데, 11월(0.6%)보다 상승세가 더 커짐 렌트 0.8%, 주택소유자의 등가임대료(OER) 0.8% 상승 -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언제 떨어지나 - 인플레이션 3대 축인 상품 / 주거비 / 주거비를 제외한 서비스 인플레이션 중, 상품은 이미 하락 중이고, 주거비는 빠르면 23년 2분기부터 떨어질 것으로 예상. 그러나 주거비를 제외한 서비스 ..

재테크/시황 2023.01.13 (2)

2월 FOMC 25bp 인상_수잔 콜린스_230111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인 수잔 M. 콜린스는 2월 1일 FOMC에서 25bp 인상을 지지하는 내용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 다가오는 FOMC 미팅에서 25bp 인상을 지지할 것이다. - 소비자와 기업이 인플레이션에 익숙해지지 않도록 오늘날의 급속한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길들여야 한다. - CPI는 낮아지고 있지만, 서비스의 가격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 노동 시장이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다는 징후를 찾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내용 및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수잔 M.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다음 중앙은행 회의에서 금리를 25bp 인상하는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위원들이 경제를 둔화시키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신속한 조치를 취한 1년 후 통화 정책 조정의 정상적인 ..

재테크/Fed 2023.01.12 (1)

경제 및 은행 감독에 관한 연설_미셸 보우만_230110

미국 Fed의 Michelle W. Bowman은 2023년 1월 10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플로리다 은행가 협회 리더십 오찬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해당 행사에서 5가지 주제에 대해 연설을 하였습니다. - 인플레이션은 아직도 너무 높으며, 목표인 2%를 향해 노력하고 있으며, 경제둔화와 실업률이 상승할 수 있다. - 암호화폐는 리스크를 가지고 있고 이 부분에 집중할 것이며, 혁신을 방해하고 싶지는 않다. -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지불, 결제 시스템을 지속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3년 상반기에 FedNow를 출시 노력 중이다. - 안전하고 건전하며 안정적인 금융 시스템을 촉진하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 25년 전 이후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CRA(Community Reinvestme..

재테크/Fed 2023.01.11 (3)

중앙은행의 독립성 심포지엄_제롬 파월_230110

스웨덴 스톡홀름 릭스방크에서 열린 중앙은행의 독립성 심포지엄에서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나는 세 가지 주요 사항을 다룰 것입니다. 첫째, 연방 준비은행의 통화 정책 독립성은 미국 대중에게 도움이 되는 중요하고 광범위하게 지원되는 제도적 장치입니다. 둘째, 연준은 최대 고용 및 물가 안정이라는 우리가 할당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의 도구를 사용하고 대중과 의회에서 선출된 대표자들의 이해와 효과적인 감독을 용이하게 하는 투명성을 제공함으로써 독립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해야 합니다. 셋째, 우리는 "우리가 하고 있는 일에 충실"해야 하며 법적 목표 및 권한과 밀접하게 연결되지 않은 인식된 사회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방황하지 않아야 합니다. 중앙은행 독립성과 투명성 첫째, 통화정책 독립성..

재테크/Fed 2023.01.11 (3)

WSJ 인터뷰_메리 데일리_230109

Mary Daly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1월 9일 WSJ와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 연준의 금리 인상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시차는 다음 회의에서 금리를 0.25% 인상해야 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 12월 CPI 보고서를 눈여겨볼 것이다. 특히 식품, 에너지, 주택을 제외한 서비스 분야의 인플레이션을 주시할 것. - 올해 말까지 3% 이상으로 완화, 2024년에는 2% 이상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 2025년까지 연준의 목표인 2%로 되돌아갈 것으로 예상. - 최종금리는 5% 이상으로 올리고 일정 기간 유지해야 한다. 아래는 인터뷰 전문입니다. NICK TIMIRAOS: 안녕하세요. WSJ Live Q&A에 다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는 The Wall Street Journal의 ..

재테크/Fed 2023.01.10 (3)

2023년 디스인플레이션 전망_제임스 불러드_230105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of St.Louis)의 제임스 불라드(James Bullard) 총재는 목요일 CFA Society St.Louis가 주최한 행사에서 "2023년 디스인플레이션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Bullard는 GDP 성장이 2022년 하반기에 개선된 것으로 보이며 노동 시장은 여전히 강세라고 언급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너무 높지만 최근에는 감소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Bullard는 정책금리가 아직 충분히 제한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영역에 있지는 않지만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연준의 선제적 정책은 시장 기반 기대 인플레이션 측정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돌아가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그는 계속 말했습니다. Bulla..

재테크/Fed 2023.01.06 (3)

인플레이션과 향후 통화 정책_닐 카시카리_230104

한동안 공개적으로 논의한 것처럼 저는 경제가 보내는 혼합 신호를 이해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내가 9 연방 준비 지구를 여행할 때, 모든 규모의 기업에서 여전히 듣는 압도적인 우려는 노동력 부족 중 하나입니다. 네, 임금은 오르고 있지만 평균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질 임금이 하락했습니다. 정말 타이트한 노동시장일까? 기업 이윤은 증가했고 노동 소득의 분배는 실제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 "긴축된" 노동 시장에서 노동 분배가 증가하지 않는다면 언제 증가할 것입니까? 나는 또한 왜 우리가 이 높은 인플레이션을 놓쳤는지, 그리고 앞으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씨름해 왔습니다. 분명히 말씀드리자면 저는 "Team Transitory"에 확고하게 참여했기 때문에 돌을 던지는 것이 아닙니다..

재테크/Fed 2023.01.04 (2)

2022.12.20(화) 글로벌 증시 요약 / BOJ YCC 엔캐리?

주요 이슈 - 연속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강보합으로 마감 - 일본은행(BOJ) 국채 10년물 상단 0.25% → 0.5%로 상향 - 미국 내년 경기 침체 확률 70% - 블룸버그 설문조사 / 38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의 답변, GDP 성장률 전망치는 중간값 기준 0.3%,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둔화 예상, 그러나 연준의 목표인 2%를 크게 상회 전망 - 러시아 니켈 감산 / 내년 생산량 10% 정도 줄일 계획 / 일부 유럽 국가들의 러시아산 금속 수입 거부, 공급 과잉 우려 제기 시장금리 / 유가 - 국채 10년 물은 11bp 상승, 3.69% - 국채 2년 물은 1bp 상승, 4.26% - 달러 인덱스는 0.7% 하락, 103.97pt - 원/달러 환율: 1,284원 - WTI 1.2% 상..

재테크/시황 2022.12.21 (3)

2022.12.19(월) 글로벌 증시 요약 / FED를 믿어라

주요 이슈 - NAHB 지수 31로 예상치보다 하회, 팬데믹 제외하면 2012년 중반 이후 최저치 NAHB/HMI 2022년 12월 미국 주택 시장 지수 - 31 높은 모기지 금리, 인플레이션율을 훨씬 상회하는 높아진 건설 비용, 악화된 경제 조건으로 인한 소비자 수요 감소로 인해 2022년 모든 달에 걸쳐 건축 신뢰도가 하락했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12 nomadtik.com - FED의 매파적 스탠스 소화로 인한 하락 - ECB(유럽 중앙은행)의 강도 높은 긴축 예고에 따른 채권 수익률 상승 → 미국 국채 수익률에도 영향(상승) - 독일 국채 10년물 / 지난주 ECB 통화정책 회의 이후 약 30bp 상승 - 영국 국채 10년물 / 영란은행의 양적 긴축과 국채 발행량 증가로 인해 당일에만 17bp 급..

재테크/시황 2022.12.20 (3)

2022.11.07(월) 글로벌 증시 요약

- 중간 선거 및 CPI 발표 경계 속 상승 마감 중간선거와 증시와의 관계는 아래의 글을 참고 바랍니다. 22년 11월 CPI 전망 및 향후 예측 안녕하세요, Nomad_Tik입니다. 이번 주(11/10)에 22년 10월 CPI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워낙 인플레이션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한 상태이기 때문에, 하락 폭이 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2년 10월 CPI nomadtik.com 시장금리 - 국채 10년물은 전일비 6bp 가량 오른 4.22% - 국채 2년물은 3bp 오른 4.73% - 달러 인덱스는 0.6% 하락하며 110.04pt를 기록 유가 - WTI 0.9% 내린 91.79달러 특징주 - 메타: 대규모 해고 소식으로 6.5% 급등 - 마이크로소프트 2.9%, 알파벳 2.2% 상승 - 애..

재테크/시황 2022.11.0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