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Article 40

부동산 투기과열지구 등 해제, 서울 및 연접 4곳만 남아

안녕하세요, 오늘(22.11.10) 국토교통부에서 부동산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해제에 대한 보도자료가 있어 소개드립니다. 주요 내용 - 서울, 서울과 연접한 과천, 성남(분당, 수정), 하남, 광명은 그대로 유지 - 그 외의 경기도 전역, 인천, 세종을 규제지역에서 해제 구체적으로 투기과열지구 해제 및 조정대상지역 해제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투기과열지구 해제 - 수원, 안양, 안산단원, 구리, 군포, 의왕, 용인수지,용인기흥, 동탄2 조정대상지역 해제(경기) - 수원팔달,영통,권선,장안, 안양만안,동안, 안산, 구리, 군포, 의왕, 용인수지,기흥,처인, 고양, 남양주, 화성, 부천, 시흥, 오산, 광주, 의정부, 김포, 동탄2, 광교지구, 성남(중원) 조정대상지역 해제(인천) - 인천 중,동,..

재테크/Article 2022.11.10 (4)

바이든 + 민주당? 바이든 + 공화당? S&P500 수익률은?

미 현지시간으로 11월 8일은 중간선거가 실시되는 날입니다. 이번 중간선거에서 상원은 총 100석 중에 35석, 하원은 435석 전부에 대한 자리를 걸고 치열한 한 판이 벌어질 예정입니다. (상원은 6년임, 하원은 2년임)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상원은 민주당이, 하원은 공화당이 우세할 것으로 예상되던 상황이, 최근에는 상원, 하원 모두 공화당이 승리할 확률이 높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화당의 하원 장악 확률 82%, 상원 장악 확률 54%) 우리는 미국인이 아님에도 이것을 궁금해하는 이유가 뭘까요? 네, 바로 미국의 중간 선거 결과에 따라 증시가 어느 쪽으로 갈지를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점 때문입니다. 누가 이기면 좋은 건가요? 1948년부터 현재까지 중간선거가 치러진 다음 2년간 S&..

재테크/Article 2022.11.07 (6)

22년 11월 CPI 전망 및 향후 예측

안녕하세요, Nomad_Tik입니다. 이번 주(11/10)에 22년 10월 CPI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워낙 인플레이션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한 상태이기 때문에, 하락 폭이 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2년 10월 CPI 컨센서스 이번 CPI에 대한 월가 애널리스트의 컨센서스는 다음과 같습니다.(YoY 기준) 그런데, Cleveland Fed에서 제시하는 인플레이션 나우에서는 다른 컨센서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시면, Cleveland Fed의 컨센서스는 월가의 컨센서스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어느 쪽의 데이터를 보더라도, 이번에도 드라마틱하게 CPI가 감소하는 것을 보기는 어렵겠다는 생각입니다.) 과거 컨센서스 적중률은 어땠을까요? 예상을 하신 분도 계시겠지만, 네, 적중률이 높지..

재테크/Article 2022.11.07 (3)

아이폰14 출하량 감소 - 팍스콘 정저우 시설 락다운

안녕하세요, Nomad_Tik입니다. 중국 정저우에 위치한 iPhone 14 pro 및 iPhone 14 pro max 조립 시설에 Covid-19의 영향으로 생산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라고 합니다. iPhone14 pro 및 pro max의 주문은 늘어나고 있는데, 출하량이 이전보다 낮아질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고객들은 신제품을 인도받기까지 더 긴 대기 시간을 겪어야 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출하량이 얼마나 감소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 등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지난 11월 2일, 중국은 전 세계 아이폰 생산의 70% 정도를 담당하고 있는 정저우 공장에 대해서 전면 봉쇄령을 내렸다고 합니다. 정저우 공장의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Covid-19가 급속히 확산되고 노동자 이탈이 급증하자 전..

재테크/Article 2022.11.07

미 IRA 하위규정 관련 정부 의견서 제출 / 기획재정부

안녕하세요, Nomad_Tik입니다. 금일(22.11.04) 기획재정부에서 미국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하위규정 관련하여 대한민국 정부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합니다. 미국 재무부는 IRA 이행을 위한 하위규정(guidance)을 마련 중으로 지난 10.5부터 한 달 동안 IRA 내 청정에너지 인센티브 관련 6개 분야의 의견 수렴을 진행해 왔다고 합니다. IRA 내 청정에너지 인센티브 관련 6개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친환경차 세액공제 2. 청정제조시설 투자 및 첨단제조 세액공제 3. 건물 에너지 효율화 세액공제 4. 청정발전 세액공제 5. 세액공제 현금화 6. 임금 수습 요건 의견서의 주요 내용은 한국을 포함한 외국 친환경차 업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한미 FTA, WTO 등 국제..

재테크/Article 2022.11.04 (4)

미국 공화당이 중간 선거에서 승리한다면?

바이든과 민주당은 하락하는 지지율을 커버하기 위해서 총기규제, 낙태권,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온갖 방법들을 동원해왔습니다. 그러나, 다음 주에 실시될 미국 중간 선거는 민주당에게 그리 호의적이지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최근의 여론조사를 보면 상/하원 모두 공화당이 다수를 차지할 것 같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바이든과 민주당이 이끌었던 상황과는 다른 흐름의 변화가 예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IRA 관련해서 변화가 있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아래의 글은 Barrons에 기고된 글입니다. "Made in America가 아닌 Made in Democracy(동맹국)'로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입니다. 기사 내용 바이든 대통령은 민주주의의 글로벌 정치 및 경제 질서를 위협하는 중국 ..

재테크/Article 2022.11.04 (5)

How to do long term / Morgan Housel

안녕하세요, Nomad_Tik입니다. 오늘은 모건 하우절의 "How to Do Long Term"이라는 주제의 글을 가져왔습니다. 원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collabfund.com/blog/how-to-do-long-term/ How to Do Long Term Long-term thinking is easier to believe in than accomplish. collabfund.com "무엇도 우리를 떼어놓을 수 없어요. 우리는 또 다른 10년을 함께 할 거예요." - 엘리자베스 테일러, 이혼 신청 5일 전 장기투자를 한다는 생각은 성취하는 것보다 믿는 것이 더 쉽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투자, 경력, 관계 등 복합적인 모든 것에서 이것이 올바른 전략이라는 것을 알..

재테크/Article 2022.10.30 (11)

장기투자 - 단기 변동성을 버텨라

안녕하세요, Nomad_Tik입니다. 매일매일 변동성이 심한 주식시장입니다. 단기의 어려운 시간을 버티고 견뎌야만 장기투자의 달콤한 열매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매일매일이 힘들죠.) 힘든 시간을 버티기 위해, 오늘은 벤 칼슨의 "The Long-Term is Not Where Life is Lived"라는 주제의 칼럼을 가져왔습니다. 원문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s://awealthofcommonsense.com/2022/10/the-long-term-is-not-where-life-is-lived/ The Long-Term is Not Where Life is Lived --> The Long-Term is Not Where Life is Lived Posted October 23,..

재테크/Article 2022.10.29 (6)

일론 머스크 트위터 인수 이유

안녕하세요, Nomad_Tik입니다. 제목처럼, Elon Musk는 Twitter Advertisers에게 자신이 twitter를 산 이유에 대한 글을 올렸습니다. 자신이 트위터를 사는 이유는 "폭력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신념을 건전하게 토론할 수 있는 공통의 디지털 타운스퀘어를 갖는 것이 문염의 미래에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또한, “돈을 더 벌기 위해”가 아니라 “내가 사랑하는 인류를 돕기 위해” 트위터를 사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래의 전문을 참고해주세요. 개인적으로 Twitter를 인수하게 된 동기를 공유하고 싶었습니다. 왜 내가 트위터를 인수했는지, 광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많은 추측이 있었습니다. 대부분이 틀렸습니다. 트위터를 인수한 이유는 폭력을 가하지 않고 다양..

재테크/Article 2022.10.28 (21)

경기 침체 우려, 지금 우리는?

안녕하세요, Nomad_Tik입니다. 경기침체는 머지않아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라는 말을 자주 듣고 있습니다. 당장 저만하더라도 경기침체가 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감이 없습니다. (그동안 세상에 너무 관심을 두지 않았고, 급여 생활을 하고 있으니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세계의 유명한 경제학자나 투자자문회사, 그리고 미 연준에서도 이야기하는 데에는 그만큼 중요성이 높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경기 침체 예측에 대해서 우리는 어떤 행동을 취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행동이 인플레이션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원문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awealthofcommonsense.com/2022/10/ev..

재테크/Article 2022.10.2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