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시황 42

2023.01.05(목) 글로벌 증시 요약 / Fed와 펀더멘털과 싸우지 말라

주요 이슈 - 12월 민간 고용(ADP) 발표 23만 5천 명 증가 - 전월 12만 7천 명, 예상 15만 3천 명 훨씬 상회 대기업(500명 이상)은 15만 1천 명 감소, 그 외(500인 이하)에서는 약 35만 4천 명 고용이 증가 - 임금인상률은 전년 대비 7.3% (전월 7.6%) 소폭 하락 - 주간 실업급여 청구 건수 - 20만 4천 명 - 예상 22만 3천 명 보다 적고, 연속 실업급여 청구 역시 전주보다 2만 4천 명 감소한 169만 4천 명 다만, 연말 쇼핑철이었기 때문에 다음 주 자료를 봐야 한다는 멘트도 있음. - 에스더 조지(캔자스시티 연방은행 총재) - 기준금리 5% 이상으로 올리고 물가가 안정되고 있다는 실질적인 징후가 나올 때까지 그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 제임스 불러드(세인..

재테크/시황 2023.01.06 (2)

2023.01.04(수) 글로벌 증시 요약 / 강한 고용, 마소는?

주요 이슈 - ISM 제조업 PMI 예상치 하회 - 중국 반도체 지원 규모 축소 가능 소식 - 유럽 인플레이션 지표 예상보다 낮게 발표 - 프랑스 12월 CPI / 5.9%, 예상치 6.4%, 전월 6.2%보다 낮게 발표 -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 총재 - 기준금리는 5.4%, 현재보다 1%는 더 올려야 한다. - 인플레이션이 2%로 잘 내려가고 있다는 확신이 있어야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과 향후 통화 정책_닐 카시카리_230104 한동안 공개적으로 논의한 것처럼 저는 경제가 보내는 혼합 신호를 이해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내가 9 연방 준비 지구를 여행할 때, 모든 규모의 기업에서 여전히 듣는 압도적인 우려는 노동 nomadtik.com - ISM 12월 제조업 PMI 발표..

재테크/시황 2023.01.05 (3)

2023.01.03(화) 글로벌 증시 요약 / 테슬라 폭락..

주요 이슈 - 경기 전반의 수요 둔화,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하락 - 애플, 테슬라 큰 폭의 하락 - 테슬라 / 22년 4분기 차량 인도량 예상치 미달 - 애플 / 일부 공급업체에 부품 생산량 축소 요청 소식 - S&P Global 22년 12월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 발표 - 46.2로 11월 47.8 보다 낮음 - 2달 연속 위축세, 2년 7개월만 가장 낮은 수치 - 신규 주문은 2007년 6월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떨어짐 → 경기 침체 자극 → 유가 하락 → 안전자산 "금" 가격 상승 - 전 뉴욕 연방은행 빌 더들리 - 미국의 경기 침체에 빠질 것 같다. 왜냐하면 Fed가 할 일이 그것 - 따라서 경기 침체에 빠지더라도 빨리 빠져나올 수 있다. 왜냐하면 Fed가 통화정책완화를 통해 끝낼 ..

재테크/시황 2023.01.04 (3)

2022.12.27(화) 글로벌 증시 요약 / 테슬라 어디가니..

주요 이슈 - 중국 정부의 방역 조치 해제 소식 / 글로벌 경기 우려 완화, 물가 상승 자극 전망 시장금리 / 유가 - 국채 10년 물은 10bp 상승, 3.84% - 국채 2년 물은 6bp 상승, 4.38% - 달러 인덱스는 0.13% 하락, 104.2pt - 원/달러 환율: 1,272원 - WTI 0.04% 하락, 79.53달러 특징주 - 대형 기술주 - 애플 1.4%,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는 1% 미만 하락, 알파벳과 아마존은 2%대의 하락 - 테슬라는 11.4% 급락, 7 거래일 연속 하락 - 니오 8.2%, 니콜라 8.9% 하락, 전기차 업체 낙폭 큼 - 중국 방역 해제에 따른 상승 - 알리바바 4.9%, 징동닷컴 4.2% 상승 - 라스베가스 샌즈 4.2%, 윈 리조트 4.5% 상승 - 사우스웨..

재테크/시황 2022.12.28 (1)

2022.12.22(목) 글로벌 증시 요약 / BOJ 한 번 더?

주요 이슈 - 22년 3분기 실질 GDP 잠정치보다 높게 발표, 긴축 우려 강화, 전 종목 약세 - FTX 샘 뱅크먼-프리드 미국으로 송환, 뉴욕 법정 출석, 2억 5천만 달러 보석 패키지로 풀려남 - 23년 회계연도 연방정부 예산안 상원 통과 1.7조 달러 규모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미국 백악관 방문 - BOJ, 이르면 다음 달에도 통화정책 긴축 가능성 제시 시장금리 / 유가 - 국채 10년 물은 1.8bp 상승, 3.68% - 국채 2년 물은 5.8bp 상승, 4.27% - 달러 인덱스는 0.24% 상승, 104.41pt - 원/달러 환율: 1,291원 - WTI 1.02% 하락, 77.49달러 특징주 - 대형 기술주 - 애플 2.3%, 아마존 3.43%, 마이크로소프트 2.55%, 메타 2..

재테크/시황 2022.12.23 (2)

2022.12.20(화) 글로벌 증시 요약 / BOJ YCC 엔캐리?

주요 이슈 - 연속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강보합으로 마감 - 일본은행(BOJ) 국채 10년물 상단 0.25% → 0.5%로 상향 - 미국 내년 경기 침체 확률 70% - 블룸버그 설문조사 / 38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의 답변, GDP 성장률 전망치는 중간값 기준 0.3%,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둔화 예상, 그러나 연준의 목표인 2%를 크게 상회 전망 - 러시아 니켈 감산 / 내년 생산량 10% 정도 줄일 계획 / 일부 유럽 국가들의 러시아산 금속 수입 거부, 공급 과잉 우려 제기 시장금리 / 유가 - 국채 10년 물은 11bp 상승, 3.69% - 국채 2년 물은 1bp 상승, 4.26% - 달러 인덱스는 0.7% 하락, 103.97pt - 원/달러 환율: 1,284원 - WTI 1.2% 상..

재테크/시황 2022.12.21 (3)

2022.12.19(월) 글로벌 증시 요약 / FED를 믿어라

주요 이슈 - NAHB 지수 31로 예상치보다 하회, 팬데믹 제외하면 2012년 중반 이후 최저치 NAHB/HMI 2022년 12월 미국 주택 시장 지수 - 31 높은 모기지 금리, 인플레이션율을 훨씬 상회하는 높아진 건설 비용, 악화된 경제 조건으로 인한 소비자 수요 감소로 인해 2022년 모든 달에 걸쳐 건축 신뢰도가 하락했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12 nomadtik.com - FED의 매파적 스탠스 소화로 인한 하락 - ECB(유럽 중앙은행)의 강도 높은 긴축 예고에 따른 채권 수익률 상승 → 미국 국채 수익률에도 영향(상승) - 독일 국채 10년물 / 지난주 ECB 통화정책 회의 이후 약 30bp 상승 - 영국 국채 10년물 / 영란은행의 양적 긴축과 국채 발행량 증가로 인해 당일에만 17bp 급..

재테크/시황 2022.12.20 (3)

2022.12.15(목) 글로벌 증시 요약 / 침체?

주요 이슈 - 12월 FOMC 회의 결과 소화로 인한 큰 폭 하락 - 영국, 유럽 또한 매파적 회의 결과 발표, 50 bp 인상, 그러나 더욱 강도 높은 정책 단행 예고 - 미국 11월 소매판매 전월비 0.6% 감소 (예상치 0.2% 감소), 뉴욕, 필라델피아 제조업 지수도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며 위축, 침체 자극 시장금리 / 유가 - 국채 10년 물은 3bp 하락, 3.45% - 국채 2년 물은 1bp 상승, 4.23% - 달러 인덱스는 0.83% 상승, 104.6pt - 원/달러 환율: 1,319.5원 - WTI 1.51% 하락, 76.1달러 특징주 - 대형 기술주 동반 약세 / 애플, 알파벳, 메타 4.5% 하락, 마이크로소프트 3.2%, 아마존 3.4% 하락 - 테슬라는 0.6% 상승 (머스크 매..

재테크/시황 2022.12.16 (1)

2022.12.14(수) 글로벌 증시 요약 / 12월 FOMC, 산타 랠리는 어디로?

주요 이슈 - 12월 FOMC 회의 결과 / 생각보다 매파적인 발언으로 하락 - 전일 발표된 11월 CPI가 예상치를 하회함에 따라 비둘기적 스탠스에 희망을 가졌으나 매파로 응수 - 12월은 예상대로 50 bps 기준 금리 인상을 하였으나, 최종 금리는 9월보다 높고 시장 예측보다 높은 5.125%를 언급 -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1.2%에서 0.5%로 하향 수정 시장금리 / 유가 - 국채 10년 물은 3bp 하락, 3.47% - 국채 2년 물은 1bp 상승, 4.22% - 달러 인덱스는 0.35% 하락, 103.6pt - 원/달러 환율: 1,295.9원 - WTI 2.51% 상승, 77.28달러 특징주 - 대부분 하락 / 애플 1.6%, 알파벳 0.6%, 아마존 1%, 테슬라 2.6% 하락 마..

재테크/시황 2022.12.15 (4)

2022.12.13(화) 글로벌 증시 요약 / 11월 CPI 7.1%(YoY) 그런데..

주요 이슈 - 11월 CPI 예상치 하회로 3대 지수 모두 약 3%의 갭 상승으로 시작, 그러나 다음 날 FOMC 회의 결과에 대한 경계심으로 상승폭을 줄이며 마감 - 11월 CPI(소비자물가지수) 전년비 7.1% 상승 / 7.3% 예상 - 11월 Core CPI(핵심 소비자물가지수, 에너지 식품 제외) 전년비 6.0% 상승 / 6.1% 예상 시장금리 / 유가 - 국채 10년 물은 10bp 하락, 3.51% - 국채 2년 물은 16bp 하락, 4.21% - 달러 인덱스는 1.06% 하락, 104.01pt - 원/달러 환율: 1,289원 - WTI 3% 상승, 75.39달러 특징주 - 메타 4.7%, 알파벳, 아마존 2%대 상승 - 마이크로소프트 1.8%, 애플 0.7% 상승 - 테슬라 4.1% 하락 - ..

재테크/시황 2022.12.14 (1)